시련
맥 미니를 원격제어 & NAS로 굴려보자 - #1 NAS란?
hunnypooh
2022. 4. 18. 20:53
목적 : 원격으로 맥미니에 접속해서 맥미니로 프로그램 돌리기 & NAS 찍먹
NAS란?
(출처 : 나무위키 외 웹서핑🏄)
Network Attached Storage. 네트워크 결합 스토리지. LAN으로 연결하는 외장하드디스크.
컴퓨터에 직접 연결하지 않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는 저장장치.
장점
- 간편한 데이터 공유
- 원래 목적도 데이터를 쉽게 공유하기 위해서.
- 원래 공유 폴더는 계속 PC 켜야 하는데 NAS 는 ㄴㄴ.
- 저장장치 안 가지고 다녀도 됨
- NAS가 내부 네트워크와 인터넷에 연결 가능해서, 외부에서 인터넷으로 NAS 데이터를 열고 저장 가능.
- 저렴한 유지비
- 서버에 비해 압도적인 전력 소비량 대비 효율성.
단점
- 네트워크 연결은 필수.
- 유선 무선은 상관 없는데 연결되야 분리된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 가능.
- 성능의 한계
- NAS 자체가 성능이 좋아도 네트워크 성능에 제한이 있으니까 공유기를 거치면 잘해야 2Gbps 처리력을 가져서 비용투자가 필요하다고.
- 내 공유기 : iptime A604R
- 최고무선속도 867Mbps, 평소 100Mbps
- 집 인터넷 속도 : ??? (적어도 공유기보다는 빠름)
- 설정의 복잡함
- 서버 보다는 쉽지만 서버는 전문가가 여러명, NAS는 나 혼자 해야함. ㅠㅠ
- 포트 포워딩, 프로토콜, 리눅스 운영체제 특성, 터미널 명령어, 제조사별 O/S의 특성도 알아야 한다고.(CS 공부한다고 생각하자!)
- 관리의 어려움
- 클라우드는 데이터가 날라갈 일은 거의 없는데 NAS는 SSD 등의 저장장치를 관리해 줘야 함. 근데 저장장치는 소모성이고, 고장나면 내부 데이터는 모두 무용지물에, 롤백도 안되고 모오오든게 다 내책임.
- ← 보완하려면 RAID 설정으로 디스크 여러개로 복제해서 사용하면 된다고.
- Redundant Array of Inexpensive/Independent Disk : 복수 배열 저가/독립 디스크. 저장장치 여러개를 묶어서 고용량, 고성능인 저장 장치 한개랑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해 개발됨.
- 클라우드는 데이터가 날라갈 일은 거의 없는데 NAS는 SSD 등의 저장장치를 관리해 줘야 함. 근데 저장장치는 소모성이고, 고장나면 내부 데이터는 모두 무용지물에, 롤백도 안되고 모오오든게 다 내책임.
- 보안
- 인터넷으로 파일 공유를 해서, 로컬 저장소보다 해킹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음.
- 클라우드 스토리지는 보안 전문가가 알아서 해주겠지만 NAS는 ... 그래도 NAS는 자동 보안 업데이트를지원해서 개인 서버보다는 보안 관리가 간편하다고.
결론
맥미니 ㄱ
- 어차피 두고쓸거고, 모니터 있어서 시도해보고 아니면 입양보내기도 쉬움
- 성능은 뭐.. 나믿애믿.
- 설정 복잡함은 전공자면 당연히 알아야 할것들 같음. 이김에..!
- 관리 어려움은 애플은 하드 잘 안 고장나겠지.. 나믿애믿222
- 보안도 나믿애믿333
(사실 알아보기 전에 1)M1맥미니를 NAS 용으로 구입해서 잘 쓰고있고 2)맥미니로 데이터센터 만들었다는 등의 글 몇개 보고 이왕 맥도 경험하자!해서 삼. 역시 돈만 되면 애플을 믿는게 답인가 싶기도🙏)